2025년 4월 18일, 정부는 총 12조 2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 4월 22일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이번 추경안은 민생 안정, 통상 리스크 대응,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재해·재난 대응 등을 중점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소상공인 지원에 약 5조 원의 예산이 배정되었습니다 . 
🧾 2025년 소상공인 지원 주요 내용
1. 공공요금 부담경감 크레딧 (최대 50만 원)
• 지원 대상: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약 311만 명
• 지원 내용: 전기, 가스, 수도 요금 및 4대 보험료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납부 전용 크레딧 50만 원 지급
• 예산 규모: 약 1조 5,700억 원
• 기대 효과: 소상공인의 월평균 영업비용(약 109만 원)의 절반 수준을 지원하여 실질적인 비용 경감 효과   
2. 중신용 소상공인 대상 무이자 신용카드 발급 지원
• 지원 대상: 신용등급 4~7등급의 중신용 소상공인
• 지원 내용: 최대 1,000만 원 한도의 신용카드 발급 및 6개월 무이자 할부 지원
• 특징: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미적용으로 대출 규제 회피 가능, 정부 보증으로 신용 여력이 부족한 소상공인도 접근 가능
• 예산 규모: 약 1,000억 원 
3. 상생페이백 프로그램
• 지원 내용: 소비자가 전통시장 등에서 일정 금액 이상을 카드로 결제하면, 그 증가분의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
• 목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매출 확대 유도 
📝 신청 방법 및 일정
• 신청 기간: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한 후, 각 사업별로 별도 공지 예정
• 신청 방법: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www.semas.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
• 문의처: 중소기업통합콜센터(국번 없이 1357) 
✅ 요약
2025년 정부 추경안은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며,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약 5조 원의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주요 지원 내용으로는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최대 50만 원의 공공요금 크레딧 지급, 중신용 소상공인 대상 무이자 신용카드 발급 지원, 상생페이백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신청 방법 및 일정은 추경안 국회 통과 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issu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04월 25일 뉴스 총 정리 (0) | 2025.04.25 |
---|---|
📰 2025년 4월 22일(화) 주요 뉴스 요약 (0) | 2025.04.22 |
2025 청년·신혼부부 전세자금 지원 정리 (0) | 2025.04.18 |
2025년 21대 대통령 선거 개요 (2) | 2025.04.16 |
요즘 쓰는 유용한 ChatGPT 활용법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