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편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추가 수입 창출 방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하나의 직업만 가지고 있기 힘든 세상, N잡러! 이번 2편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N잡(부업)으로 돈을 버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콘텐츠 크리에이터 (YouTube, 블로그, SNS)
▶ YouTube
YouTube는 대표적인 수익 창출 플랫폼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레드오션, 블루오션 등 이야기 하지만
무궁무진한 소재거리가 있으니 여전히 수익을 창출 할 기회가 있는 시장입니다.
수익화 조건(구독자 1,000명 & 연간 시청 시간 4,000시간)을 충족하면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후원, 협찬, 상품 판매 등을 통해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브런치 등에서 블로거로 활동하며 광고(애드포스트,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처음 애드포스트, 구글 애드센스 광고게제를 위한 심사가 어려울 수 있지만, 심사가 통과된다면 광고 수익 뿐 아니라
제휴 마케팅(Affiliate Marketing)을 활용해 특정 상품을 홍보하고 수수료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 SNS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를 통해 브랜드 협찬을 받거나, 자체 상품 및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틱톡과 인스타그램 릴스는 짧은 영상 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유튜브에 비해 영상편집 등 짧은 시간의 노력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입니다.
2. 온라인 마켓 & 쇼핑몰 운영
▶ 스마트스토어 (네이버) & 쿠팡파트너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쿠팡파트너스를 활용해 특정 제품을 추천하고 판매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스토어 및 쿠팡파트너스를 개인 블로그 및 SNS와 함께 이어간다면 더 많은 관심과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 해외 구매대행 & 드롭쉬핑
알리익스프레스, 타오바오 등 해외 쇼핑몰에서 저렴한 상품을 구매한 후 국내에서 재판매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드롭쉬핑을 이용하면 직접 재고를 관리하지 않고도 온라인 판매를 할 수 있습니다. 배송기간이 길다는 점과 CS관련 문제가
있다는 것이 단점이지만 투자 대비 큰 수익을 낳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3. 재능 거래 및 프리랜서 활동
▶ 크몽 & 숨고
자신의 전문 기술(디자인, 번역, 글쓰기, IT 개발 등)을 활용해 크몽, 숨고 같은 플랫폼에서 프리랜서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자기계발 관심이 많아질수록 가까운 곳에서 전문 기술의 강의를 볼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예전에 비해 많은 분야의 프리랜서들이 크몽과 숨고를 이용하면서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 강의 및 전자책 판매
자신만의 지식을 온라인 강의로 만들어 유데미(Udemy)나 클래스101에 등록하거나, 전자책을 만들어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 전자책 역시 작성해야 할 방법과 양들이 다양하니 유튜브 영상이나 크몽, 숨고등을 이용하여 공부하며 활용하는게 좋습니다.
4. 중고 거래 및 리셀링
▶ 당근마켓 & 번개장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판매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정판 스니커즈, 명품, 레트로 게임기, 피규어 등 희소성이 있는 상품을 리셀(되팔기)하여 수익을 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느 물건을 현금화함으로 새로운 사업의 자본금을 마련할 수 도 있습니다.
5. 마무리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면 누구나 쉽게 부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관심사와 역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각만 한 이는 행동하는 이를 절대 이길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글을 보는 모든 분들이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길 바래봅니다.
3편에서는 더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수익 창출 아이디어를 소개하겠습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퀸제누비아 타고 제주여행 (B패밀리침대) (0) | 2025.04.05 |
---|---|
N잡 시대! 돈이 되는 일 1편 : 스마트폰 편 (0) | 2025.04.03 |
다가온 봄꽃놀이! 각 도별 추천 여행지 & 여행 팁 공개! (0) | 2025.04.02 |
'폭싹, 속았수다' 후기 – 제주도의 따뜻한 정서를 담다 (0) | 2025.04.01 |
인공지능(AI)의 미래 –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1) | 2025.04.01 |